통장쪼개기 방법 투자통장 추천하기(기간별로 금융상품 고르기)
지금까지 급여통장활용, 소비통장활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투자통장 활용에 대해서 포스팅할 차례입니다. 투자통장 활용편은 조금은 어렵습니다. 전문적인 금융상품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실 이 글은 통장쪼개기 방법 보다는 금융상품 고르는 법에 관련된 글이라고 하는 것이 더 맞을 지도 모릅니다. 통장쪼개기를 하는 이유는 결론적으로 ‘지출을 줄여서 저축(투자)를 늘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워낙 종류가 다양합니다. 기간별, 위험도별, 목적별로 금융상품들이 특징이 달라서 이 글은 아마도 이러한 기준점을 잡아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투자통장에서 말하는 투자란?
여기서 말하는 투자는 꼭 리스크가 존재하는 금융상품만을 지칭하지 않습니다. 적금, 예금, CMA, 채권, 펀드, 연금 등 돈을 모으고 굴리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금융자산을 지칭합니다. 즉, 저축도 투자라는 이야기 입니다.
총 투자금액 산정하기
최소 월 소득의 30~40%는 투자를 해야 합니다. 월 소득이 300만원이라면 최소 90만원~120만원 이상은 투자를 해야 합니다. 만약 총 투자금액(월기준)이 월소득의 30~40%가 되지 않을 경우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변동지출 관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 <소비통장편>에 자세하게 포스팅을 했습니다.
투자기간별로 적당한 금융상품 고르기
단기금융상품 고르기(1년이내에 필요한 자금)
단기 금융상품은 수익률(이자)보다도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1년 이후에 사용할 자금이기 때문에 수익률이 자산증식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적금,예금,CMA,MMF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목적으로 보면 여행자금, 전세보증금, 결혼자금 등이 있습니다.
중기상품 고르기(3년~5년)이내에 필요한 자금
안정적인 상품으로는 청약저축, 새마을금고와 같은 출자금 저축, 일반 정기적금을 활용합니다. 그리고 공격적인 상품으로는 주로 적립식펀드, 배당주 펀드와 같은 간접투자상품도 목돈모으기에 좋습니다.
투자기간이 3년~5년은 수익률이 자산증식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투자를 할 때도 손실이 발생 할 경우 손실 회복을 위한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펀드를 고르고 관리하는 것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재무설계사와의 상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중장기상품 고르기(5년~7년 이내)에 필요자금 모으기
본격적인 복리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간입니다. 중기상품보다는 좀 더 공격적인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펀드로는 해외펀드, 부동산펀드, 사모펀드,주식 등이 있습니다.
특히 이중에서 해외펀드를 적극 추천합니다. 해외펀드는 장기로 가입할 경우 비과세이면서도 다른 공격적인 상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수익률 관리가 쉽습니다.
재무구조가 좋은 회사의 주식을 매월 일정 금액을 꾸준히 사 모으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투자를 하는 것은 정신건강에도 좋습니다.
장기금융상품 고르기(10년 이상)
장기금융상품은 주로 세제혜택과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보험)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비과세저축보험(공시이율 연금, 변액연금)은 이자에 대한 세금을 평생 세금을 면제 받을 수 있습니다.
장기금융상품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가 되는 노후자금 목적으로 많이 가입합니다. 단기금융상품 못 지 않게 꼭 필요한 자금입니다. 장기금융상품은 보통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월 소득의 10~20%정도가 적당합니다.
투자통장 추천 ‘정답은 없다’
투자상품을 고르는 정답은 따로 없습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누구에게는 정답이 될 수도 있고 누구에게는 정답이 아닐 수 도 있습니다.
본인의 재무목표를 생각 해보시고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서 결정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지금까지 통장쪼개기 투자통장 편이 였습니다. 통장쪼개기 방법에 대해서 몇차례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